728x90
반응형
커널파라미터 변경 함수
test.sh
cat() {
declare -A PROC=(
["/proc/sys/kernel/shmmax"]=42949675
["/proc/sys/kernel/shmmni"]=4096
["/proc/sys/kernel/shmall"]=2097152
["/proc/sys/fs/file-max"]=6815744
)
[[ ${PROC[$1]} == "" ]] && /usr/bin/cat $* || echo ${PROC[$1]}
}
free() { echo "Swap: 2048 0 2048"; }
free
cat /proc/sys/kernel/shmmax
Linux grep 사용법
- 특정 문자열일 찾아서 중복 제거 하는 명령
grep "찾는 문자열" log_file.log | sort | uniq
- cut 명령을 사용해 중복 문자열 제거 하는 방법
- grep "첫번째 문자열 기준으로 로그의 패턴 문자를 1차 선별 한다. " log_file.log: ERROR_INVALID_PROTOCOL(-12030)를 포함한 줄을 로그 파일에서 검색합니다.
- cut -d ' ' -f 5-14 : 공백(' ')을 구분자로 하여 다섯 번째 필드부터 끝까지의 메시지를 추출합니다. 즉, 오류 코드 및 그 이후 메시지 5-14 문자열 부분 만 추출합니다.
- sort: 추출한 결과를 정렬 하고
- uniq: 중복된 항목을 제거 한다.
grep "찾는 문자열을 포함 하는 패턴" sys.log | cut -d ' ' -f 5-14 |sort | uniq
IPC(Inter-Process Communication) 자원 삭제(ipcrm)
- 현재 사용자가 생성한 메시지 큐, 세마포어, 공유 메모리 자원을 모두 해제하여 시스템 리소스를 정리하는 스크립트이다 .
#MSGID, SEMID, SHMID 조회 하여 삭제
MSGID=ipcs -q | grep $USER | cut -d " " -f 2
SEMID=ipcs -s | grep $USER | cut -d " " -f 2
SHMID=ipcs -m | grep $USER | cut -d " " -f 2
#메시지 큐(Message Queue) 삭제
for msgq in $MSGID
do
ipcrm -q $msgq
done
#세마포어(Semaphore) 자원 정리
for sem in $SEMID
do
ipcrm -s $sem
done
#공유 메모리(Shared Memory) 자원해제
for shm in $SHMID
do
ipcrm -m $shm
done
728x90
반응형
'IT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kdocs] Mkdocs 설치 및 사용 방법 (0) | 2025.01.14 |
---|---|
[IT지식] REST FUL 이란? (0) | 2022.06.04 |
[IT 지식]스케일 아웃 vs 스케일 업 (0) | 2022.04.18 |